2024.06.03 (월)

  • 맑음속초17.4℃
  • 맑음21.5℃
  • 맑음철원21.6℃
  • 맑음동두천22.3℃
  • 맑음파주21.3℃
  • 맑음대관령10.9℃
  • 맑음춘천21.1℃
  • 맑음백령도16.4℃
  • 맑음북강릉15.8℃
  • 맑음강릉18.1℃
  • 맑음동해16.3℃
  • 구름조금서울24.4℃
  • 구름많음인천22.7℃
  • 맑음원주22.5℃
  • 구름조금울릉도15.0℃
  • 구름조금수원22.0℃
  • 맑음영월18.9℃
  • 흐림충주22.7℃
  • 맑음서산22.4℃
  • 맑음울진16.4℃
  • 맑음청주24.8℃
  • 맑음대전22.8℃
  • 맑음추풍령19.2℃
  • 구름많음안동19.0℃
  • 구름조금상주21.2℃
  • 구름조금포항18.1℃
  • 맑음군산19.7℃
  • 맑음대구18.8℃
  • 소나기전주19.5℃
  • 맑음울산16.7℃
  • 맑음창원17.8℃
  • 구름조금광주22.0℃
  • 맑음부산17.7℃
  • 구름조금통영17.6℃
  • 맑음목포20.7℃
  • 구름많음여수18.6℃
  • 맑음흑산도17.3℃
  • 맑음완도17.8℃
  • 맑음고창19.8℃
  • 흐림순천17.4℃
  • 맑음홍성(예)22.9℃
  • 맑음21.2℃
  • 구름조금제주21.2℃
  • 구름조금고산19.1℃
  • 구름조금성산19.6℃
  • 구름많음서귀포20.4℃
  • 구름많음진주18.5℃
  • 구름많음강화22.1℃
  • 맑음양평23.1℃
  • 맑음이천22.4℃
  • 맑음인제18.0℃
  • 맑음홍천21.2℃
  • 맑음태백12.5℃
  • 맑음정선군16.1℃
  • 맑음제천19.4℃
  • 맑음보은19.5℃
  • 맑음천안20.7℃
  • 맑음보령18.5℃
  • 맑음부여22.2℃
  • 맑음금산20.3℃
  • 맑음22.1℃
  • 맑음부안19.9℃
  • 구름많음임실18.7℃
  • 맑음정읍20.3℃
  • 흐림남원18.9℃
  • 흐림장수16.1℃
  • 맑음고창군18.7℃
  • 맑음영광군19.2℃
  • 맑음김해시17.9℃
  • 흐림순창군18.7℃
  • 맑음북창원19.3℃
  • 맑음양산시19.3℃
  • 흐림보성군20.0℃
  • 구름조금강진군20.3℃
  • 구름조금장흥19.2℃
  • 맑음해남18.9℃
  • 흐림고흥19.3℃
  • 구름조금의령군19.2℃
  • 흐림함양군19.6℃
  • 구름많음광양시19.0℃
  • 맑음진도군18.5℃
  • 맑음봉화15.9℃
  • 맑음영주18.2℃
  • 구름많음문경20.2℃
  • 구름많음청송군16.8℃
  • 맑음영덕16.5℃
  • 구름조금의성19.5℃
  • 맑음구미20.7℃
  • 맑음영천17.3℃
  • 구름조금경주시17.6℃
  • 구름조금거창17.8℃
  • 구름조금합천19.8℃
  • 구름조금밀양20.7℃
  • 구름많음산청18.2℃
  • 구름조금거제18.0℃
  • 구름많음남해17.4℃
  • 맑음18.8℃
기상청 제공
외식물가, 전체 평균 33개월째 웃돌아…가공식품, 27개월만 역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합

외식물가, 전체 평균 33개월째 웃돌아…가공식품, 27개월만 역전

지난달 외식 3.8%·가공식품 1.9%…가공식품 1%대는 31개월만
과실 최근 9개월 연속 평균 웃돌며 부담 가중…사과는 평균의 22.9배


          image15.png

설물가, 과일 등 농산물에 꿈틀…온가족 외식도 '부담'

설 명절을 앞두고 사과·배·감 등 성수품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며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키우고 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최근 둔화세를 보이기는 하지만 30개월 넘게 전체 평균을 웃돌아 온 가족이 모이는 설에 외식 부담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122.71로 지난해 동월보다 8.0% 올랐다. 사진은 이날 서울 마포구 서교동 일대의 식당가 모습. 2024.2.4

[알리보TV.경제신문] 송광수 기자 지난달에도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을 웃돌아 이 같은 현상이 3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농·축·수산물 물가 오름폭이 커지며 6개월째 전체 평균을 상회했다. 특히 과실은 9개월째 이어져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반면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대폭 둔화해 2년여 만에 처음으로 역전 현상이 벌어져 먹거리 중에 가장 부담이 줄어들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전체 평균(3.1%)보다 0.7%포인트 높았다.

이런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3개월 연속 이어지는 중이다. 그만큼 외식이 소비자물가 품목 중에서 부담이 크다는 이야기다.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0월(3.4%) 이후로는 2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3%대를 기록했지만 아직 전체 평균보다 높다.

          image16.png

'손대기 무서운 사과 가격'

사과에 이어 귤까지 가격이 급등하며 신선과실 물가가 2월에 41.2% 올라 32년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귤은 지난달 78.1%, 사과가 71.0% 상승했고 같은 기간 배(61.1%)와 딸기(23.3%) 가격도 올랐다. 사진은 6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청과물시장에서 한 시민이 사과를 둘러보고 있다. 2024.3.6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27개가 평균을 웃돌고 있다.

햄버거가 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김밥(6.4%), 냉면(6.2%), 도시락(6.2%), 비빔밥(6.1%), 오리고기(외식)(6.0%), 떡볶이(5.7%), 치킨(5.4%) 등 순이었다.

가격이 내려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품목은 없었다.

농·축·수산물 물가 오름폭은 최근 대폭 커져 지난해 9월부터 6개월 연속 전체 평균을 상회 중이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1.4%로 전체 평균의 3.7배였다. 그중에서도 과실은 40.6%로 13.1배였다.

세부 품목을 보면 귤이 78.1%로 전체 평균의 25.2배였고 사과(71.0%)는 22.9배, 복숭아(63.2%)는 20.4배, 배(61.1%)는 19.7배, 감(55.9%)은 18.0배, 참외(37.4%)는 12.1배였다.

          image17.png

정부 권고 이후 라면·제과·제빵업계 제품 가격 조정

농심이 지난 1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내렸고, 삼양식품도 삼양라면과 짜짜로니 등 12개 제품의 가격을 순차적으로 인하한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라면 판매대 모습. 2023.7.2

그러나 가공식품은 외식이나 농·축·수산물과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9%까지 내려가 전체 평균보다 1.2%포인트 낮았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을 밑돈 것은 2021년 11월(-0.4%) 이후 27개월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이 수치가 1%대를 보인 것이 2021년 7월(1.8%) 이후 31개월 만이다.

지난달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에서는 38.4%인 28개만이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소금이 20.9%로 가장 높고 이어 설탕(20.3%), 스프(14.9%), 초콜릿(13.9%), 파스타면(13.5%), 잼(12.9%), 차(12.4%), 아이스크림(10.9%) 등 순이었다.

이에 반해 라면은 -4.8%로 가장 낮았고 김치 -4.5%, 유산균 -4.4%, 시리얼 -3.8%, 부침가루 -3.6%, 소주 -1.1% 등이었다.

먹거리 물가 고공행진에 정부가 지난해부터 물가 안정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식품 기업들이 최근에는 대체로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모습이다.

      image18.png